부동산 시장의 중대 기로에서 있다고 이야기를 했죠 실제적으로 서울 아파트 매매 그래 놓고 보더라도 작년 12월 달에 17,500원 이었죠 그리고 올해 1월 달에는 5700 여권 9월 달에는 2600 요거는 뚝 떨어졌죠 10월 달 현재 800 38번 밖에 안 된다는 얘기죠 아직까지 창 건너 찍지 못했다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은데요 그만큼 부동산 시장에서 서울 아파트 사는 사람이 줄어들었다
내서 한 사람이 없다고 이렇게 말씀을 드릴 수가 있다는 거죠 그러니 서울 부동산 심리가 꺾였다 하라고 그렇게 말을 하는 거겠죠 이동 중에 정부는 어제 가계부채관리 강화 방안을 내가 쭉 내용은 빌고 복잡해 어 제가 잘 아는 거 그것은 바로 핵심만 잘 찍어 들이는 거야 그래서 오늘도 그 핵심만 간단하게 직원들이 들어가죠 가계부채와 GDP 2020년 대로 100% 초과했다는 얘기죠 그만큼 가계부채가 1800조 건 없고 비도 5807 이상입니까 그만큼 가계부채와 GDP 거 같다는 거예요 100% 초과 있다는 얘기죠 어떻게 보면 그만큼 가계부채 즉 BC 늦었다 하라고 봐야 되겠죠 안 가계부채증가율 주요국 대비해서 매우 빠른 속도로 비씨 늘어나고 있다는 거죠 그만큼 BC 내려가는 들어가 심각하다 BC 심각하다는 이야기가 되겠죠 이거 야 뭐 저희 방송을 통해서 미리 여러 차례에 걸쳐서 통과하고 따라서 향후 미국 금리인상 국내 금리인상이 되면 이제 난리 날 가는 생태체험과 된다라고 봐야 되겠죠 가게에 부담이 되니까 그러니 이에 대한 준비를 하겠다 대비를 하겠다는 원이죠 그래요 취약계층과 사회와 국가를 지키겠다 따라서 부득이 가계부채관리 강화 방안을 내놨다 요렇게 설명을 하고 있죠 그렇네요 여름은 이 말을 믿습니까 그래요 제가 앞으로는 점은 일어나죠 인마 일도 맞을 수가 있겠죠 가계부채 증가 그러니 국가와 민족의 대출규제로 하겠다 입장에서는 해야 되겠지만 실제적으로 속내를 한번 살펴보면 위례 부동산 그러니 목표를 요거 하나 부동산을 찾겠다 이게 2차원 일하는 거죠 아마 급등한 부동산 내년도 3월 9일 대통령상까지 이어진다면 민주당에서 승리를 장담할 수 있을까요 글쎄요 제가 보는 점에서는요 부동산이 슈가 계속 이어진다면 부동산 때문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는 거예요 지난 서울시장 부산시장 보궐선거 참패 있죠 그 원인은 부동산 때문이지 않을까요 여기에다가 LH까지 그러니 부동산 때문에 서울시장 부산에 시장에 당했다고 표현해야 되겠지 그런데 부동산 가격의 내년 3월 9일 계속 온다면이 또한 문제가 심각하다고 말씀을 드릴 수가 있다는 겁니다 따라서 정부는 내년 초까지 무슨 수를 써서라도 어떤 방법을 쓰더라도 무조건 서울 집값 수도권 집값 잡겠다는 게 목표라고 봐야 되겠죠 글쎄요 아직 뭐 아무튼 일단 서울 수도권부터 잡으려고 꿈과 희망을 가지고 있다고 말씀드릴 수가 있겠죠 이제 그건 그렇고 이상까지는 정부가 발표한 내용 핵심에 없고 앞으로 제가 생각한 핵심이란 핵심을 이제 설명을 해 드리죠 집중하셔야 됩니다 첫 번째로 DSR 되겠죠 차 주다니 돈 빌리는 사람 단위로 DSR 확대 적용 계획을 2022년 1월 달 앞당겨서 초기 시장하겠다 3월 달 전에 3월 9일 대통령 선거하기 전에 빨리 DSR 소득 대비 이제 대출이 되겠죠 이걸 강화하겠다는 이름이 이제는 내년부터 처음 대출 이어하기 넘으면 DSR 40% 규제당한다는 거고 한도도 100% 줄어든다는 얘기입니다 연봉 5천만 원 받는 사람은 6억을 하나 서울 집을 살 때 대출금액이 현재 기업 사천에서 매년 1월 달부터는 1억 5,000만 원으로 확 줄어든다는 거예요 그러면 서울 아파트 급매 기뉴 거기야 대출 1억 5천밖에 안되니까이 아파트를 살기 위해서는 현금 4억 5천 이사 간다는 얘기죠 그러면 무주택 직장 입장에서는 부담된다고 말씀을 들을 수밖에 없다는 얘깁니다 이야기는 이제 집 사기가 어려워졌다 하고 가야 되겠죠 두 번째로 본다면 전세대출 분할 상환 유도 인데요이 부분을 중점으로 좀 생각하셔야 될 것 같아요 현재 전세금이 많이 올랐죠 그래요 아파트 가격 전세금도 많이 놀랐지 않습니까 하지만 많이 오른 만큼 정보는 주거복지 차원에서 세입자들에게 전세자금 대출을 많이 해 준 것도 안 사실이라는 거죠 세입자 입장에서 본다면 월세를 내는 것보다는 전세자금 대출을 받아서 저금리이니까 싼 이자를 내는 게 훨씬 이득이죠 그러하니 세입자들은 월세로 들어가는 집보다는 그냥 전세자금 대출 80% 받아 가지고 전셋집을 구하는 거예요 이왕이면 아파트에 그러니 아파트에 전세금액 이렇게 상승했다고 봐야 되겠죠 이처럼 전세를 구하는 사람들 증가되니까 전세수요는 증가되고 전세 공급은 계약갱신청구권으로 2년에서 3년 동안 거주할 수 있으므로 공급 그만큼 주로 어떤 거지 않습니까 따라서 수요와 공급 법칙 사항 전세금은 올라갈 수밖에 없었다는 얘기겠죠 그래서 전세금에 상승은 매매금액 또 막 글 올린 거 아닙니까 따라서 전국적으로 아파트 투자 전세 끼고 사는 아파트 투자가 전국적으로 광풍이 불어 딸하고 말씀을 들을 수가 있다는 겁니다 정부는이 부분은 눈여겨보고 있다는 거겠죠 지금 당장은 세입자들 눈치를 보는 거 아닙니까 지금 정부 입장에서는 전세대출도 막기 위해서는 요렇게 생각하죠 전세대출 자체를 강하게 규제를 한다 아니면 전세대출 또한 주택 담보 대출처럼 원리금 균등상환으로 가자 또 달린 할 거 아닙니까 그냥 월세 되는 것보다 싼 이자 은행에 내는 게 효과적이라고 했는데 전세대출도 원리금 균등상환으로 가 버리면 원금 + 이자를 밖에 나간다 그러면 아마 세입자들 입장에서 본다면 그러면 뭐 아파트에 또 뭐 큰 평소에 들어가려고 할까요 그러면 저 태경님 하겠죠 또 떨어지면 매매 건물 또 떨어질 수 있다는 거예요 그런데 요거는 아직 끊이지 않고 있다고 발라 되겠죠 다만 전세대출에 분할 상환 이유도 및 가야 되겠죠 두 번째로 본다면요 가족 명예 집사 게 힘들다 내가 집을 하나 더 사고 싶어 그런데 1가구 1 주택에서 1 2 3은 1가구 2 주택 취득세 양도소득세 종합부동산세 맞아 그러니 차라리 뭐 하다 1가구 다주택 어 내가 피하기 위해서 어머니 아버지 이름으로 아파트를 나이 드신 분들이 많다 그래서 부모님도 1가구 1 주택 나도 1가구 2 주택이 되겠다 아니면 아들딸들이 있어 아들딸들이 선물 살 것 중단시켜 실제 사는 것은 같이 사러 하지만 전입신고를 단 것을 해 가지고 그리고 아들 딸 메인으로 산 다른 거예요 그러면 아들 딸 1가구 1 주택 1가구 2 주택 양도소득세 부분에서 비과세 혜택 취득세에서 중과세를 피하는 하나의 편법이란 봐야 되지 않을까요 요렇게 애들 많이 해 가지고 집 사는 거잖아요 그런데요 2분 어려워졌다는 거예요 어떤 부분이냐 그것은 바로 뭐냐면 DSR 때문에 소득에 따라 대출한도를 축소하고 근본적으로서 돈 없는 경우에 대출 자체를 막아버린다 금액이죠 또 안 대출을 받는 사람을 소득이 적을 경우 DSR 때문에 대출금액이 축소된다는 얘기예요 따라서 어머니 아버지 명이나 아들 딸 며느리로 해서 담보를 받고 집 찾는 거 힘들어서 따로 가야 되겠죠 어떻게 보면 전세 끼고 사는 거 요금 어떤 거는 증가될 수도 있다고 봐야 되겠죠 왜냐면 금융을 그만큼 전세를 이용한 투자는 이어질 가능성이 많겠죠 세 번째로 본다면 갈아타기 옮겨 타기 그래요 15평에서 23층으로 23층에서 31평으로 32평 40평대로 갈아타기 또는 재테크 전략으로 컴퓨터로 옮겨 타기가 쉽지 않게 된다는 얘기입니다 왜냐 이것도 마찬가지죠 뒤에서 소득 대비 이제 담보 대출을 해 주는 거 아닙니까 여기에 금리까지 생각한다면 차라리 현재 대출받은 조건이 앞으로 대출받는 조건 보다 더 바라는 거예요 따라서 억지로 지금 그런 생각을 한다는 거죠 집 갈아타기 옮겨 타기가 이제는 힘들어졌다고 말씀을 들을 수가 있다는 거고요 내 문자로 본다면 1가구 2 주택입니다 전세 만기 시 다른 세입자를 복구했다 기존 세입자 있는데 전세 만기 시 나간다는 거예요 그럼 다른 세입자를 밀어 넣으면 되는데 다른 사람 못 구해서 그런 이유가 뭘까요 그러니 집이 오래됐어 오래됐고 인테리어를 안 했어 집에 엉망이야 그럼 세입자들이 이강 상사들은 거 엄마는 집에 안 들어오겠네 그럼 집주인 입장에서는 다른 세입자를 구하기 위해서 어떻게 된다 시발 손 봐야 되지 않겠습니까 그럼 집으로 오기로 해서 잠깐이라도 주택 담보 대출을 받아서 내가 보내야 되잖아 그런데 이거 맞아도 이제 DSR 때문에 쉽지가 않다고 봐야 되겠죠 집에 대한 전세금은 8 90%인데 또 뭐 조정대상지역이다라고 한다면 실제 거주해야 된다 또 이사 가야 된다 이런 조건들이 막 쏟아진다는 거예요 뭐 한 마디로 말해서 이제 1가구 2 주택 힘들어졌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아파트 매매 분양 동향 (0) | 2021.10.28 |
---|---|
전국 아파트 분양 현황 (0) | 2021.10.28 |
수익형 부동산 구입 방법 (0) | 2021.10.28 |
오피스텔 분양 고르는법 과 주의할점 (0) | 2021.10.27 |
지방 대구 오피스텔 분양 매매 (0) | 2021.10.27 |